재무제표는 회사의 "가계부"예요. 우리가 용돈을 어떻게 쓰고 얼마나 남았는지 적는 것처럼, 회사도 돈을 어떻게 벌고 쓰는지, 얼마나 남았는지를 정리해서 적어놓은 게 바로 재무제표예요. 지금부터 1번부터 10번까지 아주 쉽게 설명해줄게요!
11. PER이란?
PER은 '주가수익비율'이라고 해요. 회사가 1년에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식 가격이 몇 배나 되는지를 알려주는 숫자예요. 예를 들어 PER이 10이라면, 회사가 1년에 벌어들이는 돈의 10배 가격이 현재 주가라는 뜻이에요.
12. ROI란?
ROI는 '투자수익률'이에요. 내가 어떤 곳에 돈을 투자했을 때, 그 돈이 얼마나 불어났는지를 퍼센트로 알려줘요. 예를 들어 100만 원을 투자했는데 120만 원이 됐다면, ROI는 20%가 되는 거예요!
13. EPS란?
EPS는 '주당순이익'이에요. 회사가 번 돈을 주식 수로 나눈 거예요. 예를 들어 회사가 100억 원을 벌고 주식이 1억 주 있다면, EPS는 주당 100원이 되는 거죠. 숫자가 클수록 좋은 회사예요!
14. PBR이란?
PBR은 '주가순자산비율'이에요. 회사의 자산(건물, 현금 등)을 주식 수로 나눠서 비교한 건데, 1보다 작으면 '이 회사 주식이 싸다'고 볼 수 있고, 1보다 크면 비싸게 거래된다는 뜻이에요.
15. 재무제표 보는 법 (진짜 핵심)
재무제표를 볼 때는 이 3가지를 꼭 확인해요:
- 손익계산서: 이 회사가 돈을 벌고 있는가?
- 재무상태표: 회사가 가진 자산과 빚은 어느 정도인가?
- 현금흐름표: 실제로 돈이 잘 들어오고 나가고 있는가?
이 세 가지를 함께 보면, 회사가 건강한지 병에 걸렸는지 알 수 있어요!
정리!
PER, ROI, EPS, PBR 같은 용어도 하나하나 뜯어보면 어렵지 않아요. 뉴스나 기업 공시 자료를 볼 때도 이제는 조금 더 자신 있게 읽을 수 있겠죠?
16. 재무제표 예시 이미지
아래 이미지는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 일부를 예시로 정리한 것입니다. 손익계산서, 재무상태표, 현금흐름표의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.
17. 실전 기업 사례: 카카오
예를 들어, 카카오의 2023년 재무제표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:
- 매출: 약 7조 5천억 원
- 영업이익: 약 3,800억 원
- 자산 총계: 약 15조 원
- 부채 총계: 약 6조 원
- 자본 총계: 약 9조 원
이 숫자들을 보면 카카오는 자산이 많고 부채도 있지만 자본이 더 많아서 튼튼한 기업이라는 걸 알 수 있어요!
18. 이해도 점검 퀴즈
아래 퀴즈로 오늘 배운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해볼까요?
- PER이란 무엇의 약자일까요?
- 재무상태표에서는 어떤 항목들을 볼 수 있을까요?
- ROI가 50%라는 건 어떤 뜻일까요?
- 재무제표 3대 핵심 문서는 무엇인가요?
- EPS가 높은 회사는 어떤 의미일까요?
👉 정답:
- 1. Price to Earnings Ratio (주가수익비율)
- 2. 자산, 부채, 자본
- 3. 투자금 대비 1.5배 수익을 냈다는 뜻
- 4. 손익계산서, 재무상태표, 현금흐름표
- 5. 수익성이 좋고 주주가치가 높을 가능성이 큼
19. 주식 투자와 재무제표의 관계
주식 투자를 할 때 재무제표는 꼭 봐야 해요! 왜냐하면 재무제표를 보면 이 회사가 돈을 잘 버는지, 부채는 얼마나 되는지,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에요.
- 이익이 꾸준히 나는 회사는 배당금도 잘 주고 주가가 오를 가능성도 높아요.
- 부채가 너무 많은 회사는 위험할 수 있어요. 부채가 많으면 이자 갚느라 돈이 많이 나가니까요.
- 현금흐름이 좋은 회사는 운영이 안정적이에요. 실제 돈이 잘 들어오고 있어야 안전해요.
- PER, PBR, EPS 등을 보면 지금 주식이 싸게 거래되는지, 비싼지를 판단할 수 있어요.
즉, 재무제표는 투자자가 회사를 믿고 돈을 맡길 수 있는지 확인하는 신뢰의 기준이에요!